추석 명절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사기 피해

 

 

현재 러시아 전쟁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경제상황이 그리 여유롭지는 않습니다. 기름값과 가계물가가 너무 올라 추석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 건가 라는 걱정이 앞서는 분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우리의 상황을 너무 잘 알고 파고드는 사기꾼들의 수법이 점차 진화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사기법들의 방법을 살펴보고 절대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셔야 해요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목차
1 정부기관 사칭 현황
2 정부기관 사칭 문자
3 메시지피싱 문자의 유형
4 앱 설치후 발생하는 피해
5 메시지 피싱이 의심된다면
6 메시지 피싱을 당했다면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1. 정부기관 사칭 현황

 

 

현 2022년 1월부터 7월까지 경찰철 국가수사본부에서 살펴본 통계에 따르면 정부의 기관을 사칭해 보이스피싱을 당한 피해건수가 전체 피해중 37%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21%가 상승한 수치입니다.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2. 정부기관 사칭 문자

 

 

또한 코로나 19로 정부에서 국민들을 위해 지급하는 국민지원금 신청이나 금융사의 대출 상품 등을 사칭하여 지원금 신청 유도를 하거나 추석 특별자금 또는 소상공인 지원 안내등을 가장한 문자로 메시지 피싱 사기범들의 수법이 점차 진화하고 있어서 유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3. 메시지피싱 문자의 유형

 

 

먼저 문자 메시지로 받은 안내관련 대출이나 국가보조금 신청 독려 문자의 내용이라면 발신된 번호를 눌러서 회신하는 것을 절대 하면 안 됩니다. 혹시 통화가 되었다고 하더라도 통화 도중 보낸 인터넷 주소 (url)을 클릭하시거나 앱을 설치하시면 절대 안 됩니다.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4. 앱 설치후 발생하는 피해

 

 

메시지 피싱 사기범들이 보내준 앱을 설치하게 되는 경우 그 앱에 악성 코드가 숨어 있어서 모바일폰에 있는 나의 개인정보를 비롯하여 지인들의 번호와 신상 그리고 은행과 카드사 금융 정보까지 알아내어 다른 범죄에 이용될 수도 있으니 금전적 손해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절대로 유선상이나 메시지 그리고 sns상으로 업무 처리를 하지 않으시길 권고합니다.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5. 메시지 피싱이 의심된다면

 

 

메시지 피싱이 의심된다면 유선상으로 해결하거나 알아보려고 하지 마시고 직접 금융사를 방문하셔서 알아보시는 것을 권 고드리며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이나 인터넷 주소는 클릭도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혹시 클릭을 벌써 해버리셨다면 반드시 모바일 백신을 다운로드하셔서 그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정부 보조금 문자 보이스피싱

 

6. 메시지 피싱을 당했다면

 

 

혹시 나도 모르는 의식의 흐름으로 메시지 피싱 문자를 순간 잘못 클릭하여 모바일 백신으로 지우고 다음 후 조치를 취했지만 금전적인 피해가 이미 발생하고 난 후라면 해당 금융사 고객센터에 바로 연락하시고 금융감독원(1332)에 도움을 요청하여 계좌의 지급 정지를 하실 수 있다면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각종 카드 사용을 막아 놓으셔야 합니다.

 

 

▶ 금융감독원 온라인 민원신고 접수 바로가기

 

 

그리고 바로 경찰청 (112)로 신고하시고 방문하셔서 고소장을 접수하셔야 합니다. 추석이 다가오며 보내오는 메시지 피싱들은 거의 나이가 지긋하셔서 모바일이나 앱에 익숙하지 않으신 어르신들을 겨냥한 사기인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님께 조금 더 관심 가지셔서 메시지 피싱에 관련하여 설명해주시며 가족 간의 대화도 한 번 더 나누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